“출하 시기를 맞추려면 어쩔 수 없이 이
“출하 시기를 맞추려면 어쩔 수 없이 이런 폭염에도 일을 해야 합니다.” 비닐하우스 내부가 42.8도를 기록한 모습. 이정훈 기자 jh89@donga.com 13일 오전 11시 충남 아산시 배방읍에서 만난 농업인 이종대 씨(67)는 오이 재배 비닐하우스에서 얼음물로 목을 축이며 이렇게 말했다. 비닐하우스 내부는 강한 햇볕 탓에 숨 쉬기 버거울 정도로 더웠다. 휴대전화로는 폭염 안전 수칙을 지켜 달라는 내용이 담긴 안전안내문자 메시지가 울렸다. 이날 아산 지역 최고기온은 35도였다. 하우스 내부의 기온은 42.8도까지 치솟은 상태였다. 13일 충남 아산 지역 최고기온이 35도에 육박한 가운데 이종대 씨가 메마른 오이를 보며 한숨을 내쉬고 있다. 이정훈 기자 jh89@donga.com 길이 100m, 폭 15m 정도 되는 하우스엔 초록색 오이 잎사귀가 가득 차 있었는데, 가까이서 확인해 보니 노란빛으로 변색됐거나 축 늘어져 있었다. 잎사귀 사이에 있는 오이는 메말라 있었다. 통상 중부지방에 있는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하는 오이는 1월 파종을 시작해 3월부터 7월 말까지 수확 작업을 진행한다. 이 씨는 “시기를 놓치면 상품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아무리 더워도 지금 오이를 따야 한다”면서 “폭염으로 오이 생육이 이뤄지지 않는 등 이미 상당한 피해를 보았지만 남은 오이라도 수확해야 생계를 이어갈 수 있다”고 했다. 이 씨는 한때 연 매출 4억 원가량을 기록하기도 했지만 최근 몇 년 전부터는 여름철 폭염 피해로 기존 매출 대비 1억∼2억 원가량 손실을 보고 있다고 했다. 오이 생육을 위한 여름철 적정 온도는 20∼25도라고 한다. 그러나 하우스 내부 온도가 40도가 넘는 이 씨 농장엔 냉풍기와 급수 장치 등이 설치돼 있었음에도 가동되진 않고 있었다. 이 씨는 “최적의 환경을 갖추기 위해 수천만 원을 들여 각종 시설을 설치해 봤지만 내부 온도를 2도가량 떨어뜨릴 뿐이었다”며 “전기요금도 문제다. 농업용 전기를 사용하는데, 10년 전만 해도 월 100만 원 정도 내던 요금은 최근 2배가량 올라 각종 장치를 사용하는 데도 부담이 크다”고 했다.인근에서 과수원을 시리아 남부 스웨이다에서 베두인족과 드루즈족이 충돌이 100명 가까이 숨진 가운데, 15일(현지시각) 스웨이다 인근 도시에서 이스라엘군의 공습으로 검은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스웨이다/AFP 연합뉴스 시리아 종파간 폭력 사태에 개입한 이스라엘이 시리아 정부군을 향해 공습을 이어가고 있다.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의 전투부대 소속 시설도 공격했다. 가자지구 공습도 이어가는 등 이스라엘의 주변국 공습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로이터통신은 15일(현지시각) 이스라엘이 시리아 남서부에 종파간 충돌 상황을 해결하러 파견된 정부군을 공격했다고 보도했다. 시리아 국영언론은 이스라엘군이 데라주에서 공습을 실시했다고 전했다. 이스라엘군도 텔레그램 성명을 통해 “시리아군 탱크, 로켓이 실린 전투차량과 진입로를 포격했다”고 밝혔다.시리아 외교부는 성명을 통해 이스라엘의 침략은 “배신”이라고 규탄했다. 이 공습으로 정부군과 다수의 민간인이 사망했다고 밝혔다.13일 시리아 드루즈족이 주로 거주하는 남부 도시 스웨이다에서 베두인족과 드루즈족이 충돌해 약 100명이 사망했다. 베두인족은 아랍계 유목민으로 수니파이고, 드루즈족은 시아파의 한 종파이다. 이스라엘은 드루즈족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시리아 정부군을 이틀째 공격하고 있다. 이스라엘에도 드루즈족이 일부 살고 있다.이스라엘군은 같은 날 헤즈볼라에 대한 공습도 진행했다. 같은 날 텔레그램 성명을 통해 “공군 전투기들이 레바논 베카 지역의 헤즈볼라의 군사 시설물을 향해 수차례 공격을 개시했다”고 밝혔다. 공습 대상이 된 부대는 헤즈볼라의 전투부대인 라드완 부대로, 이스라엘군이 최근 2년 동안 이 부대를 상대로 수차례 공습을 해왔다. 이스라엘군은 “무기를 비축하고 활동하는 것은 향후 이스라엘에 대한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레바논 국영 언론을 인용해 로이터는 헤즈볼라 대원 5명을 포함해 12명이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이스라엘군이 공개한 레바논 베카 계곡 공습 장면. 영상 갈무리 이스라엘이 자신들을 최근 먼저 공격하지 않은 레바논과 시리아에 대해 공습에 나선 것을 두고 이스라엘의 정기적인 공격 방식의 전환이라고 보는 시각이 강하다. 가자와 서안지구, 이란, 예멘을 포함해 이스라엘을 둘러싼 ‘잠재적 갈등 대상’이 될 수 있는 이
“출하 시기를 맞추려면 어쩔 수 없이 이